|
종합뉴스 > 사회보험 |
|
한국인 28세부터 ‘흑자 인생’… 61세 이후 다시 적자 |
노동소득이 소비 앞서며 43세에 흑자 1753만원 ‘정점’
일하는 고령자 늘면서 적자 재진입 시기 점점 늦춰져
우리나라 국민은 17세에 생애 최대 적자를 맞이했다가 28세에 흑자 시기에 진입하고 43세에 최대 흑자를 기록한 후 61세에 다시 적자로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통계청은 지난달 26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‘2022년 국민이전계정’을 발표했다. 국민이전계정이란 연령집단(세대) 간 경제적 자원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로, 연령 변화에 따른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. 특히 소비에서 노동소득을 뺀 값인 ‘생애주기적자’ 지표에서 생애주기 중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많으면 적자, 적으면 흑자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.
조사 결과 1인당 생애주기 중 0~28세까지는 ‘적자 인생’인 것으로 나타났다. 특히 17세 때 최대 4078만원의 적자(소비 4113만원, 노동소득 35만원)가 발생하는데 이는 통상 고등학교 1~2학년 때 교육비 지출이 가장 많기 때문이다. 28세부터는 노동소득이 소비를 초과하면서 흑자로 전환되며 43세 때 최대 흑자 1753만원(소비 2537만원, 노동소득 4290만원)을 얻게 된다. 이후 61세부터는 다시 적자 구간에 진입한다.
2010년 이후 흑자에 진입하는 시기는 27~28세로 일정한 편이지만 적자를 다시 맞는 때는 2010년 56세에서 2022년 61세로 점차 늦춰지고 있다. 일하는 고령자들이 갈수록 늘어 노동소득이 끊이지 않으면서 적자 시점이 늦어지는 것으로 풀이된다.
2022년 전 국민의 생애주기적자는 총 195조4000억원으로 소비가 1364조1000억원, 노동소득이 1168조7000원으로 집계됐다. 노동연령층(15~64세)은 143조9000억원 흑자를 거뒀지만 유년층(0~14세)과 노년층(65세 이상)에서 각각 176조8000억원, 162조5000억원의 적자가 발생했다.
2022년 생애주기적자 총량값(195조4000억원)은 2021년보다 53조7000억원이 늘어난 결과다. 전년 대비 소비 증가폭(9.9%)이 노동소득(6.3%)보다 컸기 때문이다.
생애주기별 발생한 적자는 상응하는 대가 없이 거래되는 ‘이전’, 자산소득에서 저축을 뺀 ‘자산재배분’ 형태로 충당된다. 2022년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된 298조1000억원은 유년층과 노년층에게 각각 177조4000억원, 118조원 순이전됐다. 노동연령층의 순유출액 중 공공에서 세금과 사회부담금 등으로 190조원을, 민간에서 가족 부양 등을 위해 108조1000억원을 순유출한 것으로 집계됐다.
[한국보험신문=손민아 기자]
|
손민아 alsdkqg@insnews.co.kr
[저작권자 (c)한국보험신문.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]
2024-12-02 00:01:09 입력.
|
|
|
|
|